둘레길.올레길 179

지리산둘레길 4차 20구간 역방향 : 산동 ~> 방광 13km 2024.01.21

08:05 구례군 산동면 원촌리 산동면사무소에서 광의면 방광리 참새미마을까지 13km 여정의 지리산둘레길 20코스를 역방향으로 출발 08:25 효동마을 08:29 탑동마을 08:42 썰렁한 문화예술촌 08:49 구례수목원 입구 09:13~09:27 구례수목원~지리산정원 5.6km 임도의 첫 번째 커브의 정자 09:57 구리재 (10:00 혼자서 지초봉으로 10:10 지초봉길의 구례 짚와이어 와 모노레일(상) 10:19~10:32 해발 601m의 지초봉 10:37 구리재로 복귀) 10:37~10:40 구리재에 복귀해서 떡살ㆍ오뎅ㆍ라면 이른 점심 식사 후 출발 : 식사를 한 참을 한 것 같은데 너무 짧은 시간이다. (12:06 수목원~지리산정원 임도를 따라가다 구리재, 지리산 정원, 난동마을 삼거리의 칡대밭..

지리산둘레길 4차 21구간 역방향 2-2 : 밤재 7km ~>산동 15.9km (주천~산동 ). 2024.01.14

07:39 도로변 둘레길 시작 점 100m 거리의 둘레길안내센터 옆에 있는 산동 15.8km ~ 주천 0.1km 지점에서 지리산둘레길 마지막 코스인 산동~주천 15,9km인 21코스를 역으로 주천에서 산동으로 출발 07:45 효열각 증 동몽교관조봉대부풍천노학수 증 영인장수황씨 증 영인해주정씨지각 08:17 류익경 효자비와 배롱나무가 있고 남원시에서 둘레길 1~21코스 모두 탐방 후 SNS 홍보하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라는 푯말이 있는 둘레길 탐방 인증 포토존인 정문등 08:25 무너미 08:28 무너미에서 꼭두마루재로 가는 길에 입맛이 좋아서 많이 먹는다는 말에 깻벌거지 마냥 살이 찐다 하며 이야기 웃음꽃을 피우며 간다 09:00 꼭두마루재? 09:15 주천 3.9km --> 산동 12.0km ..

지리산둘레길 4차 21구간 역방향 : 주천~>밤재 7km (주천~산동 15.9km 1-2). 2024.01.14

지리산 둘레길" 은 지리산 둘레를 환형으로 연결하는 장거리 도보 길로 3개 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남도], 5개 시군[남원시·구례군·하동군·산청군·함양군], 20개 읍면, 120여 개 마을에 걸쳐 있는 장거리 도보 길을 말한다. 2007년 1월 설립된 ‘숲길’에서 조사와 정비를 통해 지리산 주변의 옛길과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연결하여 만들어 낸 도보 여행 코스이다. 2004년 지리산 생명 평화 탁발 순례단이 지리산을 한 바퀴 도는 ‘지리산 순례길’을 만들자고 제안하였다. 이후 2007년 산림청 녹색 사업단 시민 단체 공모 사업인 환 지리산 트레일 조성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지리산 둘레길 조성이 확정되었다. 지리산 둘레길은 가능한 원래 있던 길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도보 여..

지리산둘레길 4차 제6코스(수철~선녀탕~성심원 15.9km) 2023.03.26

산청군 금서면 수철리 가락국(금관가야)의 마지막 임금인 10대 양왕(讓王)의 무덤으로 전(傳)해지는 무지개다리와 구형왕릉仇衡王陵이 자리잡고 있는 가락국의 멸망을 지켜 본 왕산(923m)과 여자의 젖가슴을 닮았다 하여 유방(두)봉이라도 하고 붓끝을 연상케 하여 필봉筆峰 또는 문필봉文筆峰 이라고도 불리는 필봉산筆峰山(848m)을 조망할 수 있다. 쌍재는 큰재라고도 한다. 자연동천紫煙洞天 춘래대春來臺 암각 남면선생이 제자 덕계德溪 오건吳健을 찾아 지막리 춘래대에서 놀다 헤어지곤 하였다는 암각이 있다는데 보지 못하고 지나쳤다. 지막리에서 본 지리산둘레길 5코스의 쌍재~고동재 구간의 능선이 왼쪽으로는 왕등재로 이어지고 쌍재에서는 왕산과 필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한 눈에 들어 온다. 지막리를 지나 신촌교에서 금서..

지리산둘레길 4차 제5코스(동강~수철 12.1km) 2023.03.19

廻陽門 : 슬픔과 고통의 陰地의 과거를 극복하고 역사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相生의 양지로의 화합을 창출해 나가 미래의 초석을 낳는 디딤돌로 승화되어야 한다는 의미. 저 하늘의 별이 되신 님이시어 문효치 님 앞에 서 있기가 부끄럽습니다. 퍼부어오는 총탄이 우리의 양심을 사살할 때 그 양심의 갈래 끝에서 산화된 님이시어 앞산이 고개 숙여 오열하고 뒷산이 허리 굽혀 통곡하던 그 날 해와 달도 빛을 잃고 우주 운행의 길도 뭉개어진 암흑의 세상에는 님이 뿌린 진달래 선혈만이 가득했지요. 서러운 그 꽃무덤 위에서는 사철 서리꽃만 피고 졌지요 아 이제는 하늘에 올라 별이 되신 님이시여 때론 밤하늘의 꽃이 되고 눈물이 되고 다시 보면 보석같이 곱디고운 목숨의 끄트머리 이제 저 붉은 낙조의 순간처럼 더없이 평온하고 아름..

지리산둘레길 4차 제4코스(금계~동강 12.7km) 2023.03.05

의중 義仲 경남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이다. 고려시대 의탄소가 있었던 지역으로 추성리 칠선계곡 입구에 있다. 마을 안에는 800여년 수령의 느티나무가 있어 매년 음력 7월7일에는 당산제를 모시고 있다. 선조때부터 함양박씨, 경주정씨가 집성촌을 이루었고, 정조때에는 경주최씨가 입촌 정착해오고 있으며, 본 마을 출신인 은계 이진우 선생은 1897년에 태어나 천석지기를 한 향토교육가로서 사유재산 일백두락을 저당하여 마천초등학교 건립에 공헌하였고 현재 도계공원에 그를 기리는 송덕비가 마천면민의 이름으로 세워져 있으며, 그의 후손이 생가를 보존하고 있다. 주촌천은 둘레길 1구간 행정리에서, 서부능선 상의 세걸산에서 내려오는 람천에 흡수되어 이후 람천이라는 이름으로 흐르게 된다. 계속하여 람천은 인월을 지나면서 백두..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3-3 (등구재~금계마을) 인월~금계 20.5km 2023.02.05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인월~금계 20.5km 2-3 (수성대~중황마을) 2023.02.05 에서 계속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인월~금계 20.5km 2-3 (수성대~중황마을) 2023.02.05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인월~금계 20.5km 3-3 (등구재~금계마을) 2023.02.05에 계속bkm2400.tistory.com 함양의 제안재, 오도재, 등구재를 넘어 남원 산내, 운봉으로 왕래하는 경상도와 전라도를 이어주는 길목 얼음이 두껍게 놓여 있는게 아직도 햇살이 이 곳은 녹이지를 못한 모양이다 그 간의 피곤한 육체는 오를쪽 내려가는 길로 유혹을 하는데 주최측에서는 왼편 임도를 택해 지리산 천왕봉주변 능선을 조망하며 천천히 찬찬히 읊어보면서 가라하며 산자락의 임도로 안내를 해 놓았다 ..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2-3 (수성대~중황마을) 인월~금계 20.5km 2023.02.05

지난 1/8 운봉에서 인월로 이어지는 2코스 트레일과 이어서 3코스인 인월~금계 구간이 20.5km로 긴 여정이라서 수성대약수쉼터까지 4.7km를 진행한 후 설 연휴, 추위 등으로 한 달여 만에 나머지 15.8km를 트레일 하기 위해 순창에서 광대(구. 88) 고속도로를 달리는 길에 본 먼동 모습.7시간 정도 소요 됨 한 달 만에 만나 이야기꽃을 피울 생각에 들떠 산뜻하게 3코스 트레일을 수성대약수쉼터에서 시작을 하다. 백련사는 패스하고 바로 수성대로 진행을 하다. 인월에서 산내. 마천으로 가는 천왕봉로 변 높은 산자락을 보니 아침햇살에 유난히도 빛을 발한다. 작고 평범한 계곡인 수성대 무인판매대를 무아판매대로 잘못 썼다 (막걸리 한 잔에 2,000 원으로 지금은 동절기로 그나마도 준비가 되어 있지가 않..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 인월~금계 20.5km 2023.01.08

1-3 (인월~수성대) 선화사 경유 20.5km 코스를 이용 인월장터에서 나와 백련사쪽은 임도로 40분 정도, 선화사쪽은 산길 등산로 1시간 정도 소요되는 길로 임도나 산길을 가도 끝지점인 수성대약수 쉼터에서 만납니다. 20230108_153023 시커멓게 변해버린 감 20230108_153836 20230108_155243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인월~금계 20.5km 2-3 (수성대~중황마을) 2023.02.05 에서 계속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2-3 (수성대~중황마을) 인월~금계 20.5km 2023.02.05 - https://bkm2400.tistory.com/m/2156 지리산 둘레길 4차 03코스 2-3 (수성대~중황마을) 인월~금계 20.5km 2023.02.05지난 1/8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