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부산 14

갈맷길 4-1 : 13km, 남파랑길, 송도해안볼레길 2024.10.27

갈맷길 4-1코스 : 남항대교 절영해안산책로 관리센터 ~ 2.5km ~ 송도해수욕장 ~ 0.9km ~ 송도해안볼레길 ~ 1.4km ~ 암남공원 입구 ~ 2.1km ~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 ~ 6.1km ~ 감천항 : 합 13.km 07:09~ 송도해수욕장 07:30 송도오션파크 07:40 송도작은방파제의 송도어항방파제동단등대 07:43 서구종단트레킹 숲길의 해안산책로 입구 08:04 뉴질랜드 한국전 참전 기념석 08:10 암남공원ㆍ감천항 삼거리 08:17 송도용궁구름다리 : 닫혀 있어 들어가지 못함 08:23 구름다리 08:26 동백나무길 전망대 08:41 포구(팽)나무 쉼터 08:59 두도전망대 09:08 사랑계단으로 다시 나와 임남공원 후문 가는 길을 묻다 09:22 두도전망대 1.2km ㆍ모지포삼거..

산행/부산 2024.11.12

송도해수욕장 고등어축제와 거북섬 구름산책로 2024.10.26

송도해수욕장의 유래 송도(松島)는 옛날 이곳에 송림이 많이 우거져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송도해수욕장은 부산에 거류하던 일본인들이 송도유원주식회사(松島遊園株式會社) 설립하여 1913년에 수정(水亭)이라는 휴게소를 설치하고 개발한 우리나라 최초의 공설해수욕장이다. 1920년대에는 송도와 시내를 잇는 부산 최초의 신작로인 송도로 가는 윗길(지금의 천마로)이 1939년에는 남항일대가 매립되어 송도로 가는 아랫길(지금의 충무로)이 생겨, 도심과 가까워 많은 시민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1964년에는 거북섬에서 해수욕장 위를 가로지르는 케이블카와 송림공원에서 거북선으로 건너가는 구름다리가 설립되어 송도의 명물로 전국적인 관광지가 되었으나, 1980년대에 들어 해안주변 개발의 가속화로 모래유실, 태풍 셀마의..

산행/부산 2024.11.11

용두산공원ㆍ유라리공원 2024.10.26

토요상설 전통민속놀이마당 : 동래야류 부산시민의 종 : Busan Citizens Bell 釜山(プサン)市民の鐘 | 釜山市民之种介绍 이종(鐘)은 부산시민의 마음과 정성이 담긴 종으로써 부산시의 발전과 번영을 염원하며 시민의 화합과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부산시민 100,723명이 기부한 1,282백만원의 시민헌수금으로 1996년 12월 31 일에 건립된 종으로, 조승래 교수(부산대 예술대학)의 수정된 디자인을 당선작으로 최종 확정하고 기장(機長)의 주종회사인 홍종사에서 주조하였다. 종의 재질은 구리, 주석이고 규격은 전체높 3.85m, 구경 2.3m, 종무게 25톤으로 용두산 보호각(종각)안에 두었으며 종각 정면의 현판은 경재(敬齋) 조영조가 쓰고 석정(石丁) 남두석이 조각하였다. 종머리 천판(天板)..

산행/부산 2024.11.11

영도 태종대 도보길(전망로) 한 바퀴 2024.10.26

부산 태종대는 영도의 남동쪽 끝에 있는 국가지정문화재이자 국가지질공원이다. 태종대라는 이름의 유래는 두 가지가 전한다. 하나는 신라 태종 무열왕이 이곳에 와서 활을 쏘아 이곳의 이름을 태종대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동래부지(東萊府誌)」에 전한다. 다른 하나는 1419년 조선에 큰 가뭄이 들자 그해 5월 태종이 하늘에 빌어 비가 내린 일을 본받아 동래 부사가 가뭄이 들 때마다 이곳에서 기우제를 올렸다는 이야기가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에 나온다. 부산 일대에서는 보기 드문 울창한 숲과 기암괴석으로 된 해안 침식 절벽, 푸른 바다 등과 함께 절경을 이룬다. 갈맷길 3-3코스 중 감지해변산책로 ~ 태종대 유원지입구 : 남파랑길 (갈맷길 3-3코스 : 14.9km 남항대교 ~ 흰여울문화마을 ~ 절영해안산책..

산행/부산 2024.11.10

영도 흰여울문화마을과 태종대 2024.10.26

(갈맷길 3-3코스 : 14.9km 남항대교 ~ 흰여울문화마을 ~ 절영해안산책로 ~ 영도해녀문화전시관 ~ 감지해변산책로 ~ 태종대 유원지입구 ~ 동삼혁신지구 (아미르공원입구) : 남파랑길) 갈맷길 3코스 신선이 노닐던 신선대가 웅장한 부산항의 파노라이를 보여 준다. 1796년 이곳은 방문했던 영국 함정 '프로비던스'호의 사연을 기리기 위해 만든 앤드루왕자길을 따라 내려서면 세계에서 하나 뿐인 UN기념공원이 있다. 지척에 선사시대부터 부산근현대사를 열람할 수 있는 부산박물관이 있는데, 실제 현장은 우암동 장고개를 넘어 영화 '친구'로 유명한 문현동 곱창골목에서 자성대, 진시장. 정공단, 증산으로 이어지는 산복도로에서 만날 수 있다. 부산역으로 내려서면 옛 부산 초량 해안선을 따라 차이나타운과 영선고개를 넘..

산행/부산 2024.11.06

해운대 해수욕장 ~ 동백섬 해안산책로 2024.10.25

13:45~ 해운대 미포 블루라인광장 13:56 ~ 14:22 그린레일웨이 시ㆍ종점인 미포정류장 인근 극동돼지국밥 점심 14:26 ~ 15:51 해운대해수욕장 15:53 ~ 16:28 동백섬 해안산책로 트레일 16:11 해운대 석각 16:14 동백섬등대 16:17 누리마루APEC하우스 17:02 동백섬정류장 동백섬정류장에서 송정해수욕장 구덕포까지 택시비 8,800 카드 사용 부산식전통토렴국밥 : 건더기가 든 뚝배기에 펄펄 끓는 육수를 부있다 내렸다 하며 딱 먹기 좋은 온도를 맞추고 부드럽게 풀린 밥알에 육수가 골고루 배인다. 해운대 온천의 유래 Origin of Haeundae Hot Springs/海云台温泉由来/海雲台温泉の由来 신라시대에 해운대 구남벌의 한 웅덩이에서 온천물이 발견된 뒤부터 해운대일대의..

산행/부산 2024.11.05

그린레일웨이 : 송정구덕포 ~ 해운대미포정류장 2024.10.25

해파랑길과 갈맷길이 같이 이어지는 구간 11:37 해운대구 송정구덕포 미포집 앞 도로 주차 11:52 해운대 블루라인파크 구덕포정류장으로 가 그린레일웨이를 따라 걷는다 12:08~12:21 신발에 덧신을 신고 들어가는 청사포 다릿돌전망대 12:31 송정으로 이어지는 문텐로드(달맞이길)과 청사포 몽돌해변의 스카이캡슐과 해변열차가 오가는 거널목이 있는 청사포정거장 13:04~13:07 해월전망대 13:12 바다소리갤러리 13:17 해월전망대정거장 13:23 달맞이터널정거장 13:33 해운대블루라인 미포시ㆍ종점 13:45~ 해운대 미포 블루라인광장 13:56 ~ 14:22 극동돼지국밥 점심 부산식전통토렴국밥 : 건더기가 든 뚝배기에 펄펄 끓는 육수를 부있다 내렸다 하며 딱 먹기 좋은 온도를 맞추고 부드럽게 풀..

산행/부산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