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남원시 27

광한루 2024.12.17

옥지환玉指環"여자의 명심불망銘心不忘 지환빛과 같은지라, 이걸 깊이 두었다가 날 본 듯이 내여보오"지환指環은 여성이 주로쓰던 가락지로 반ㆍ상의 구별없이 여성 절개의 마음을 담은 장신구의 하나이다.옥지환은 춘향이 몽룡과 이별할 때 준 정표이기도 하며, 암행어사로 출두한 몽룡이 춘향의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할 때 쓰였던 정표의 상징물로써 굳은 사랑의 언약을 나타낸다. 월매집조선 시대 우리나라 고전 '춘향전'의 무대가 된 집이다.남원 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광한루 구경 길에 그네를 타고 있던 성춘향에게 반하여 사랑을 하게 되었다.이 집은 후에 두 사람이 백년가약을 맺은 집이다.춘향의 어머니 이름을 따서 월매집이라 하였다.월매방이도령이 한양으로 떠나기 전 날 밤에 춘향이의 치마에 변치 않는 사랑을 약속하며 글..

산행/남원시 2024.12.17

고리봉 2-2. (그럭재~두바리봉~고리봉~석촌) 2023.04.30

두바리봉 아래 묘소에서 본 두바리봉 두바리봉서 본 문덕,고정,송내봉 삿갓봉 아래서 본 두바리봉 : ---> x 표시는 내려가면 석촌으로 내려가는 길인데 누군가 가지말라고 표시를 해 두었다. 김정길의 호남명산 순례 / 금남호남정맥, 천황지맥의 두바리봉(555.3m) 2개의 산봉우리가 부부처럼 서로 마주 바라보고 있는 형상 / 새만금일보 2021/02/01 두 개의 산봉우리가 사랑하는 부부처럼 서로 마주 바라보고 있는 두바리봉은 전국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에는 “두바리봉은 삿갓봉 북쪽에 있는 산으로 두 봉우리가 양쪽에서 마주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에는 두바리봉이 나와 있으나, , , 에는 산 이름이 없다. 국토지리정보원 에는 산의 높이(555.3m)만 표기되어 있다. 천..

산행/남원시 2023.05.06

고리봉 1-2, (비홍재~비홍산성봉~옥수봉~문덕봉~고정봉~그럭재) 2023.04.30

20230430_090032 해발 380.3m의 비홍산성봉 비홍산성 문덕봉(門德峰:598.1m) 문덕봉 정상의 남쪽에는 손잡이가 달린 석문(石門)이 지금도 있다고 한다. 옛날 대강면 옥전마을 뒤에 있는 사찰의 대사가 석문 옆에 있는 샘에서 금바가지로 물을 떠먹고 수도하며, 마을사람들에게 큰 덕을 베풀었다고 하여, 문문(門), 큰덕(德)을 써서 문덕봉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어떤 사람이 석문 안에는 갑옷을 꺼내려고 석문을 정으로 흠집을 내자 벼락을 쳐서 실패했다고 한다. 송내마을에서는 촛대처럼 뾰쪽하다고 해서 촛대봉, 금지방면에서는 도장봉으로 부른다. 문덕봉(598m)-삿갓봉(629m)-고리봉(709m) 능선은 주생면, 금지면, 대강면 등 남원시 3개면에 걸쳐 뻗어있는 산줄기로 그 중 하나인 ..

산행/남원시 2023.05.05

구룡계곡(폭포) 2023.02.26

20230226_110931 ~ 153157 남원 구룡폭포 Movie001 20230226_110931 六茅亭 아홉 마리의 龍이 노닐었던 곳이라 龍糊洞이라 불리었으며, 약 400년 전 이 지역의 선비(儒林)들이 龍紹 앞 넓다란 바위 위에 6각형 모양의 정자를 지어 六茅亭이라 하였다. 원래는 뒤에 보이는 계곡 변바위 위에 있었으나, 1960년 큰 비로 유실되어 현위치로 옮겨저 복원하였다. 20230226_111448 남원 구룡계곡 구룡폭 구곡 용호9곡이라고도 하며 음력 4월 초파일이면 아홉 마리의 용이 하늘에서 내려와 아홉 군데 폭포에서 한 마리씩 자리 잡아 노닐다 승천했다는 전설때문이다. 주천면 호경리에서 덕치리까지 펼쳐지는 심산유곡이다. 수려한 산세와 깍아지른듯한 기암절벽으로 이어지는 이 계곡의 최상부..

산행/남원시 2023.02.27

실상사(산내면) 2023.02.05

실상사를 등뒤로 하고 본 조망 쌍둥이 석탑은 통일신라 말 실상사를 처음 지으면서 함께 세운 것이다. 높이는 8.4m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이다. 층마다 몸체와 지붕을 각각 별개의 돌로 만들고, 각층 몸체의 모퉁이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다. 지붕 아래 면은 수평이나, 윗면 모퉁이 부분은 위로 치켜올려졌다. 받침부가 비교적 커서 균형감은 덜하나 전체적인 모습은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서쪽 탑은 아쉽게도 꼭대기 일부를 잃어버렸으나 두 석탑 모두 윗부분이 비교적 원래대로 남아 있어 그 화려했던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 청소년이 만든 문화재 안내판 삼층으로 만든 부처님 탑 인월중학교 1학년 배정아 김세영 김혜정 탑은 부처님의 구슬 모양의 유골(사리)이나 부처님과 관련된 책, 보물을 보관하는 부처님의 무덤..

산행/남원시 2023.02.07

陶平 진관욱 민속박물관 2022.03.05

삶의 터전이셨던 대강에서 많이 모으시고 남원 전주까지 원정을 하시면서 모으셨다면서 제일로 애착이 가는 민속품은 무엇인지 하니 소방차라시며 금액도 만만치가 않다 하시고 그 다음은 하니 연자방아라 하시는데 소래이가서 두 개가 있었는데 한 곳은 매매가 이루어져 손에 넣지 못하시고 한 곳은 어디로 사라져 버렸는지 찾을 길이 없어 손에 넣지 못하셨다며 못내 아쉬움이 남는다 하신다 거동이 불편하시어 이륜차를 타고 다니시는데 제가 ㅇ이 초등학교 동창이라며 이름을 알려드려도 모르실거고 아버님 함자를 알려 드리니 암 잘 알고 말고 하시며 한참을 말씀을 하시면서 금방 알아보시고는 소래이 소도리허고는 동갑인 92세라 하시어 제 아버님하고도 연세가 같으시다니까 그런가 하시기에 저의 아버님은 2005년 17년전에 돌아가셨다니까..

산행/남원시 2022.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