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임실군 78

회문산(깃대봉~회문산정상 : 큰지붕) 2024.06.16

12:24 회문산 깃대봉(해발 775m) : 삼연봉 2.2km ? 학문과 창의에 빛난 조평 선생에게 나라에서 1000 정보의 사패지를 하사하고 깃대를 꽂도록 했다. 그래서 '조평선생사패지'라는 깃대를 꽂았고, 이곳이 깃대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사패지'는 고려와 조선시대 임금이 내려준 논밭이란 뜻이다. 깃대봉에서 약 38분 거리인 삼연봉까지는 이정표도 거리 표시도 없어 아쉬움이 컸다. 12:42 천마봉 745m, 초계변씨 묘비 12:45~13:00 점심 13:24 삼연봉 618m : 큰문턱바위까지 0.6km, 회문산 정상까지 2.2km 13:34 사방댐갈림(임도)길을 가로질러 산 능선속으로 들어 간다 : 삼연봉 05.km, 회문산정상 1.7km, 회문산역사관 0.3km 14:03 서어나무 갈림길 : 회..

산행/임실군 2024.06.18

회문산(임실ㆍ순창) 2024.06.16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 깃대봉 3.1km 깃대봉 ~ 삼연봉 2.2km?(약 45분 소요) 삼연봉 ~ 회문산정상(큰지붕) 2.2km 회문산정상 ~ 순창군 구림면 안정리 회문산자연휴양림매표소 2.96km 합 10.46km 10:17 옛 파출소 안내표지판에서 2.7km 거리의 홍성문대사 옛 집터, 2.9km 거리의 빨치산 교통호, 3.1km 거리의 깃대봉을 향해 출발 12:08 홍성문대사 옛 집터 12:12 일중마을 삼거리 : 깃대봉 480m, 회문리 2.62km, 일중마을 2.39km 12:13 빨치산 교통호 12:24 회문산 깃대봉(해발 775m) : 삼연봉 2.2km ? 학문과 창의에 빛난 조평 선생에게 나라에서 1000 정보의 사패지를 하사하고 깃대를 꽂도록 했다. 그래서 '조평선생사패지'라는 깃대를..

산행/임실군 2024.06.17

고덕산 : 임실군 관촌면 온수리 고덕마을 2024.03.18

09:56 임실군 관촌면 운수리 소재 해발 625m의 고덕산 산행 위한 고덕마을 주차장~ 0.74km ~ 1봉, ~ 0.15km ~ 2봉, ~ 0.12km~ 3봉, ~0.06km~ 4봉, ~0.12km~ 5봉, ~0.1km~ 6봉, ~0.14km~ 8봉 정상(12:04 총 1.43km). 하산(13:14) ~0.74km~ 고덕마을 주창(14:02) 10:44 고덕산 제1봉 11:02 고덕산 제2봉 11:10 고덕산 제3봉 11:16 고덕산 제4봉 11:33 고덕산 제5봉 11:40 고덕산 제6봉 11:33 고덕산 제7봉 : 제5봉에서 노선에서 떨어져 있어서 지나침 12:04~13:14 고덕산 제8봉에서 라면으로 식사 후 휴식 13:47 덕봉사 갈림길 14:02 고덕마을로 하산 예전에 찾았을 적 아름다운 ..

산행/임실군 2024.03.19

물안개길 2코스 : 옥정호 외앗날길(용안리 내마마을 ~ 국사봉 주차장 왕복) 2024.02.16

09:57 임실군 운암면 용운리 내마마을에서 어리동정류장까지 6.32km 여정의 외앗날길 트레일 시작 10:03 데크트레일 시작 : 80번 째 계단부터는 309계단을 급격한 오름으로 용운1길까지 오른다 10:15 수변데크 추가 공사 중 10:17 급경사 309계단 오름데크 10:27 용운1길 높이까지 올라 옴 10:44 다시 내려 갔다가 용운1길 위 산 정상까지 오름 10:49 내리막 데크 쉼터 11:01 국사봉제1전망대 국사봉노변 주차장 11:06 ~ 11:17 국사봉제1전망대 정자 11:26 국사봉로 주차장으로 나옴 : 내마 시점 1.1km 인데 캐시워크 수치로는 3.2km 인 것이 오르락 내리락 답사거리가 아닌 직선거리 표식인지 하는 생각이 든다. 11:30 국사봉제2전망대 주차장 11:34 국사봉..

산행/임실군 2024.02.17

섬진강댐 물문화관 2024.02.13

섬진강 본디 이 강은 모래내, 다사강, 두치강이라고 불렸습니다. 하지만 고려 우왕 11(1385)년 왜구가 강 하구에 침입 했을 때, 광양 땅 섬거에 살던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가 이곳으로 떼를 지어 모려와 울부짖자, 이에 놀란 왜구들이 피해 갔다는 전설로 인해, 이때부터 두꺼비 섬(蟾), 나루 진(津) 자를 붙여 섬진강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섬진강은 우리나라 남부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총 유역 4,489m 2로, 남한에서는 네 번째로 큰 강입니다.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의 팔공산 자락의 옥녀봉 아래 데미샘에서 시작하여, 3개도 11 개시ㆍ군에 걸쳐 흐릅니다. 길이는 223.86km로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를 굽이쳐 흐르며, 보성강과 여러 지류와 합쳐 광양만으로 흘러듭니다. 운암댐(운암제) 동진강유..

산행/임실군 2024.02.14

물안개길 4코스 운암역사길 19.4km 2024.02.12

09:39 운암면 운종리 섬진강댐 물문화관에서 파킹 후 물안개길 5코스 물문화길을 역방향으로 따라 가 10:06 운암대교에서 길이 19.4km, 시간 5:30 소요, 난이도 중의 운암역사길(조성예정 : 옥정호 물안개길 1코스 구름바위길을 바라보며 걷는 길 ) 시작했는데 임도를 따라가다 새로이 난 임도를 따라 호수가로 이어져 그레이스풀빌라, 청운리 박실마을, 청운리 거뜸마을 지나 운암~학암 위험도로 선형개선공사구간 현재 끝 지점까지 4시간 40분이 소요 되어 종점인 학암까지는 개설된다 해도 5시간 30분만에 갈 수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에 시간 예측은 할 수가 없다. 10:17 옥정호 물안개길 4코스 운암역사길 답사를 09:39에 출발하여 가던 중 운암대교 밑에서 배 떠나는 것 구경하고 10:28 운종리 임..

산행/임실군 2024.02.13

물안개길 5코스 : 물문화길 7.3km 중 일부 개통구간 2024.02.13

2024.02.12 물문화관에서 조성중인 옥정호 물안개길 4코스 운암역사길 시작점 운암대교로 가는 길의 사진을 역으로 배열 함 본 건물은 섬진강댐 건설로 수몰된 입석리 독재를 나래봉 너머 물 밖으로 끌어내어 수몰의 아픔을 위로하고, 물안개 자욱한 새벽, 날아든 한 마리 새가 생명의 물을 마시는 서정적인 모습을 형상화한 건축물로 섬진강댐 건설 50주년 및 재개발 사업준공을 기념하여 건설하였다. 주 소 : 임실군 운암면 운종리 443번지 공사기간 : 2013.06 ~ 2015.06 내 용 : 전시관(1~2층), 야외광장 및 산책로 공 사 비 : 45억 원 다음 날인 2024.02.13 다시 찾은 옥정호 물안개길 5코스 물문화길 11:00 섬진강댐 물문화관 주차장에서 옥정호 물안개길5코스 물문화길 시작 11:..

산행/임실군 2024.02.13

물안개 1코스 : 옥정호, 구름바위길(둔기정류장~구름바위길 7.1/11.2km) 1-2 2024.02.07

옥정호 물안개길은 1코스 구름바위길을 시점으로 시작한다. 숲과 호수를 동시에 느낄 수 있고, 옥정호 남쪽의 나래산(543.9m)과 물안개가 피어오르면 천국의 다리를 보는듯한 착각에 빠진다. 운암대교를 보며 한참을 걷다보면, 남쪽에 자연의 시비를 느낄 수 있는 음지흰바위를 볼 수 있으며, 금계국 꽃길, 비비추, 황금조팝길은 시원한 바람이 부는 대나무숲으로 연결한다. 그렇게 쉬엄쉬엄 가다 깔딱고개를 지나 양지흰바위를 돌면 한숨 돌릴 수 있는 오목하게 자리잡은 쉼터가 있는 생태숲(모지골)을 만난다. 한참을 쉬다 참나무숲을 지나면 1코스의 마지막 용운마을을 만나게 된다. 전북천리길 리본 사색 산들길(녹색), 해안길(파랑:서해랑길과 연결), 강변길(노랑), 호수길(빨강) 침수지역 세 번째까지는 우회해서 지나갈 수..

산행/임실군 2024.02.09

물안개길1코스(옥정호, 구름바위길 : 용운1길 104-2~38에서 시작) 2-2 2024.02.08

물안개 1코스 : 옥정호, 구름바위길(둔기정류장~구름바위길 7.1/11.2km) 1-2 2024.02.07 - https://bkm2400.tistory.com/m/2467 물안개 1코스 : 옥정호, 구름바위길(둔기정류장~구름바위길 7.1/11.2km) 1-2 2024.02.07옥정호 물안개길은 1코스 구름바위길을 시점으로 시작한다. 숲과 호수를 동시에 느낄 수 있고, 옥정호 남쪽의 나래산(543.9m)과 물안개가 피어오르면 천국의 다리를 보는듯한 착각에 빠진다. 운암bkm2400.tistory.com 용운1길 104-2~38로 이동

산행/임실군 202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