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 31

데미샘 2024.04.26

07:56 데미샘자연휴양림 팔선정에서 데미샘을 향해 08:12 오계치 0.84km, 데미샘 0.69kmㆍ천상데미 1.36km, 원신암 1.9km 삼거리ㆍ체험숲 0.2km 삼거리 08:22 오계치 0.75kmㆍ데미샘 0.17km 삼거리에서 오계치 방향으로 08:47 아침 식사 09:17 헬기장 09:20~11:05 오계치 11:41 오계치 0.75kmㆍ데미샘 0.17km 삼거리에서 데미샘으로 11:46~12:00 데미샘 12:14 08:12 오계치 0.84km, 데미샘 0.69kmㆍ천상데미 1.36km, 원신암 1.9km 삼거리ㆍ체험숲 0.2km 삼거리 12:41 데미샘자연휴양림 입구에서 데미샘 등산 종료 12:43~12:48 데미샘자연휴양림 목교

산행/진안군 2024.04.27

지리산둘레길4차 10구간 역방향 : 청암면 중이리 하동호 ~ 옥종면 위태리 시ㆍ종점 11.5km) 2024.04.21

2.옥종면 궁항리 궁항마을 ~ 위태리 경남 하동군 옥중면 위태리 783ㅡ2 (돌고지로 1430-1) 하동군 옥종면은 전국 최대 티타늄 매장지 위태마을은 과거 상촌으로 불렸다. 상촌의 본래 이름은 갈티마을이었다. 갈티라는 지명은 이곳에서 산청군 시천면 내공리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인 갈치(葛峙)에서 유래했다. 이 고개는 과거 덕산장을 찾는 장꾼들이 넘나들었다. 일제강점기땐 목탄(숯)을 실어 나르기 위해 차량 통행이 가능한 신작로로 정비됐다. 마을이 청암면에서 옥종면으로 편입되면서 옥종면 청룡리 상촌마을과 구분하기 위해 위태리로 부르게 됐다. 안몰·중몰·괴정지 등 여러 작은 마을로 이뤄졌다.

내변산 : 운암마을~재백이~직소폭포~내변산 주차장 2024.04.24

1. 운암마을 ~ 직소폭포내변산 : 운암마을~재백이~직소폭포~내변산 주차장 2024.04.24 - https://bkm2400.tistory.com/m/2544 내변산 : 운암마을~재백이~직소폭포~내변산 주차장 2024.04.241. 운암마을 ~ 직소폭포 2. 직소폭포 전망대 ~ 내변산 탐방지원센터bkm2400.tistory.com2. 직소폭포전망대 ~ 내변산탐방지원센터집으로 ~~~

내변산 : 운암마을~재백이~직소폭포~내변산 주차장 2024.04.24

07:50 전북농협동인산악회 전주종합경기장 출발09:37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운암마을  버스정류장에서 내려 내변산 등산로 입구를 향해 출발09:47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운암마을 내변산 등산로 입구에서 내변산 주차장까지 5km 여정 출발10:11~10:18 재백이삼거리 쉼터 : 관음봉삼거리 0.9km, 직소폭포 1.5km, 원암 1.2km 10:24 재백이다리10:48~10:55 직소폭포10:58~11:07 직소폭포 전망대11:14 선녀탕11:18~11:26 직소보11:27 직소보다리11:29 미선나무다리11:35 봉래교11:36 실상사11:51 내변산탐방지원센터12:10~12:58 변산명인바지락죽 점심14:18 종합경기장 해산1. 운암마을 ~ 직소폭포2. 직소폭포 전망대 ~ 내변산 탐방지원센터내변산 ..

전북농협동인회 2024년 0 4월 월례회 및 류기초ㆍ조기선 회원 팔순기념식 2024.04.22

행사 시작 팔순 기념식 2024년 4월 전북농협동인회 월례회의 팔순 기념 사진 촬영 팔순기념 피로연 전북농협동인회 사무실 참석자 명단 구순근 국점룡 권옥주 김기연 김미자 김병선 김종운 김종태 김진배 김학덕 김형찬 노시준 문일순 류기초 박공제 박금철 박성문 방극만 소순섭 송춘식 신재홍 신화주 양은규 양해도오길록 유명례 윤재식이기강 이남일 이민호 이석균 이재열 이정필 이한열 장경주 장성식 장현기 정명일 정상윤 정영식 조기선 진성주 진영석 차명옥 최기화 최정학 홍치순 황인덕 귀가 길

지리산둘레길4차 10구간 역방향 : 청암면 중이리 하동호 ~ 옥종면 위태리 시ㆍ종점 11.5km) 2024.04.21

지리산둘레길10구간 역방향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하동호 ~옥종면 위태리 구간 중 위태리 시종점에 차 파킹하러 가는 길에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서 본 섬진강변 운해 지리산 둘레길" 은 지리산 둘레를 환형으로 연결하는 장거리 도보 길로 3개 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남도], 5개 시군[남원시·구례군·하동군·산청군·함양군], 20개 읍면, 120여 개 마을에 걸쳐 있는 장거리 도보 길을 말한다. 2007년 1월 설립된 ‘숲길’에서 조사와 정비를 통해 지리산 주변의 옛길과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연결하여 만들어 낸 도보 여행 코스이다. 2004년 지리산 생명 평화 탁발 순례단이 지리산을 한 바퀴 도는 ‘지리산 순례길’을 만들자고 제안하였다. 이후 2007년 산림청 녹색 사업단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