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쌍릉 益山 雙陵
굴식돌방무덤 2기가 남북으로 180m 거리에 있어 쌍릉이라고 불렸으며, 백제 30대 무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전한다.
쌍릉은 고려사에 후조선後朝鮮 무강왕武康王과 왕비의 무덤으로, '말통※대왕릉'이라 부른다고 쓰여 있다.
봉분이 큰 북쪽 것을 대왕릉, 작은 남쪽 것을 소왕릉이라고 한다.
모두 둥그런 봉분을 쌓았으며, 무덤방은 화강암을 매끈하게 다듬어서 백제왕릉으로 알려진 부여 능산리 고분들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었다.
1917년 일본인들이 발견하였는데, 이미 도굴 되었지만, 썩고 남은 목관과 관 꾸미개, 토기 등을 수습하였으며, 국립익산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017년과 2019년에 다시 발굴조사 하였는데, 대왕릉 무덤방에 있던 인골은 7세기 전반에 사망한 50세 이상의 남성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따라서 쌍릉은 641년에 죽은 백제 무왕의 무덤일 가능성이 있으며, 미륵사, 왕궁성 등 무왕의 익산 경영과 직접 관련되는 무덤으로 추정한다.
이 무덤은 180m 북서쪽에 있는 대왕릉보다 봉분이 작아서 소왕릉이라고 불렸다.
무덤방은 대왕릉과 같이 화강암을 매끈하게 다듬어서 만든 백제 후기 굴식돌방이다.
둥그런 봉분은 지름이 13.0m, 높이가 3m로 대왕릉보다 작으며, 무덤방 길이가 3.43m, 너비가 1.28m, 높이가1.75m로 대왕릉보다 약간 작다.
대왕릉처럼 판축기법으로 봉분을 쌓았다.
무덤방 입구와 봉분에서 글자가 새겨지지 않은 묘표석으로 보이는 돌 2매가 발견되었다.
무덤방 바닥 한가운데에 길이가 2.45m, 너비가 0.63m, 높이가 0.20m인 관대가 만들어져 있다.
소왕릉은 무왕의 왕비 무덤으로 전해 왔으나 발굴조사에서는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봉분을 대왕릉처럼 쌓았으며 무덤방의 크기나 모양 등으로 볼 때 대왕릉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왕릉급이라 할 수 있다.
※판촉기법 : 나무판으로 틀을 만들고 그 안에 흙을 넣어 다져 쌓는 기법.
※묘표석 : 무덤의 주인공을 알리는 비석과 같은 돌.
※관대 : 무덤 안에 시신을 넣은 관을 얹어 놓던 평상이나 낮은 대.
봉분의 규모는 직경 25m, 높이 4m 내외로 확인되었으며, 봉분은 제석사지 목탑지 기단조성과 같은 판촉기법을 이용하여 축조되었다.
봉분 내에서 조사된 석실묘의 구조는 단면 육각형의 7세기대 백제 사비기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확인되었다.
잘 다듬어진 2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진 벽석 위에 1매의 고임석을 두고 2매의 천장을 올린 형태이다.
짧은 연도를 두고 현실 중앙에는 목관을 안치하였던 화강암제 관대(270cm, 넓이 84cm, 높이 25m)가 놓여 있다.
석실 규모는 길이 401cm, 너비 175cm, 높이 225cm로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왕릉보다 큰 규모이고, 석재를 다듬은 기술과 구조의 치밀한 짜임새 등을 볼 때, 매우 공력을 들여 만든 석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실 내 관대 위에는 일제 강점기 당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자가 놓여 있었고, 그 상자 안에는 102조각의 인골이 담겨 있었다.
인골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피장자의 성별이나 생전상황들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이 확인 되었다.
대왕릉의 석실 앞쪽으로는 길이 21m, 너비 4~6m 규모의 묘도가 조사되었으며, 웅장한 규모의 묘도를 통해 장례가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묘도가 조성되 전, 석실을 중심으로 봉분의 일정한 범위에서 표시적 성토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사실은 대왕릉의 석실 축조 완료 시점과 장례 행위 간에 일정한 시간적 차이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산행 > 익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륵사지ㆍ국립 익산 박물관 2024.03.02 (0) | 2024.03.03 |
---|---|
왕궁리 유적지 2023.12.05 (1) | 2023.12.06 |
미륵사지 2019.04.05 (0) | 2019.04.11 |
미륵산 2018.02.22 (0) | 2018.02.22 |
미륵산 2008.05.05 (0) | 201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