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고원길 3구간 내동산 도는 길 : 백운면 행정복지센터 ~ 성수면 행정복지선터 17.8km 2025.03.23

백운면 행정복지센터 1.2 윤기 0.6 동산 0.7 산림환경연구원 0.5 상덕현 1.0 구신치 0.8 원구신 1.9 하염북 0.8 상염북(충목정) 2.7 구신리조망지 1.2 쉼터 3.4 점촌 0.9 신리제 1.3 원외궁 0.8 성수면 행정복지센터 합계 17.8km
내동산 도는 길
내동산(백마산)을 에돌아 백운과 성수를 잇는 고원길이다.
과거엔 딸나무와 먹거리 창고 역할을 했고, 지금에 와서는 등산할 요량으로 찾게 되는 내동산 이다.















































고려말 이성계가 왜구를 격퇴한 후 개성으로 돌아가던 중 신하를 구하는 혈의 형국이라 해서 구신리(求臣里)라 블렀고 이 구신리 관내에서 맨 먼저 형성된 마을이라해서 원구신이라고 했다 한다.
'원구신 사람은 송장도 무겁다' 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지형상 물 대기가 좋아 수확량도 많고 품질도 좋기로 유명했다.
마을 모정 옆에는 노적바위가 있는데, 어느날 바위가 갈라져 그 안에서 백마가 나왔다는 재미난 이야기가 있다.
또한 마을주민은 바위갈라진 밑 공간에 음식물 저장창고로 사용한바 있다.


















염북(念北)마을
지금도 고목들이 있는데 예전에 나라가 망하자 나무들이 시름시름 앓아 누워 임금을 생각하는 마음이라 해서 염북(念北)이 유래하였고, 나무는 충성의 뜻으로 충목정(忠木亭)이라 했다.
염북 앞 742번 지방도는 일정시대 고창에서 장수까지 등짐으로 소금을 나르던 행상길이었고, 한창때는 주막이 하염북에만 세 개나 있었다고 한다.
염북으로 향하는 고개를 염북재(해발 543m),
외궁으로 향하는 고개를 상춘재(해발 348m),
점촌마을과 중평마을을 잇는 고개를 아조개재(해발 324m) 또는 점티재로도 부른다.

진안고원길 3구간 : 구신리 상염북마을 ~ 성수면 행정복지센터 10.3km 2025.03.23 - https://bkm2400.tistory.com/m/2950
진안고원길 3구간 : 구신리 상염북마을 ~ 성수면 행정복지센터 10.3km 2025.03.23
bkm240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