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조루유물전시관 :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https://blog.kakaocdn.net/dn/d8iF8S/btsFlRXIf2P/XXPTsxzrjXzU2xbTOclo00/img.jpg)
운조루유물전시관 : 구례군 토지멘 운조루길 56
2012년 7월 첫 삽을 뜬 후 5,905m2 부지에 건축 총면적 886m2로 전시실 1동, 주차장 및 부대 시설 등을 조성하고 2014년 12월에 준공하였습니다.
2015년 12월 운조루로부터 유물을 기탁받아 2016년 4월에 문을 열었습니다.
운조루의 역사와 삶의 모습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전시된 유물은 운조루에서 대대로 소장해 온 것들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bDjd/btsFmkFesF7/RgrCnMMbAoYq8BJZv9gWS1/img.jpg)
운조루
운조루는 조선시대 양반가옥의 전형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곳으로 1776년에 건립되었습니다.
운조루란 이름은 원래 사랑채 당호堂號로써 도연명陶淵明의 시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따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운조루는 나눔과 배려의 정신이 살아 숨쉬는 곳으로 사랑채 부억 쌀뒤주에 적힌 타인능해他人能解 글귀와 낮은 굴뚝은 운조루 정신을 대표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9XBKC/btsFm00GbFy/jkHCX7PHIwvoIsEKD1Hk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vAj9/btsFjKRrUa5/4bKhuvGXY9FpZtqvtTVI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JySH/btsFsdkpTFn/Lkeqn6rpD6KnprDwg9VQrk/img.jpg)
타인능해他人能解
누구나 열 수 있는 나눔 쌀독
운조루의 창건주 류이주는 마을의 배고픈 사람들이 언제든지 와서 뒤주를 열어 필요한 만큼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였다.
통나무를 깍아 만든 이 뒤주에는 두가마니 닷되의 씰을 담을 수 있으며, 힌 달에 한 번씩 뒤주가 비워지면 쌀을 다시 채울 것을 명했다고 한다.
뒤주는 큰 사랑채에서 인채로 통하는 주간문에 두고 '누구나 열 수 있다'는 글귀를 새겨 둔 것은 가난한 이웃들의 불편한 마음을 헤아린 주인의 배려이다.
동학, 여순사건, 6.25전쟁 등을 지내면서도 운조루가 건재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웃에 대한 배려와 나눔, 즉 타인능해他人能解의 정신때문일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EHmxh/btsFp6Z3Wk8/0xbGumoJS7QeRiTZ6iJ100/img.jpg)
삼수공 류이주 영정 19세기 초
운조루 창건주인 류이주(1726~1797) 사후 홍살문이 내려져 1806년에 집을 중수하고 삼수공을 모실 사당을 건립하며 그곳에 봉안하기 위해 그려진 그림으로 추정된다.
![](https://blog.kakaocdn.net/dn/cWE9zV/btsFlTnjft4/OVyoQhcjukp6oqZRkqwiq1/img.jpg)
류이주 홍패교지
류이주가 1753년 무과에 합격하고 받은 증서.
홍패교지는 문ㆍ무과 최종합격자에게 내려주던 증서로 당시 류이주의 합격등수는 병과 제5인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WAyg/btsFm49LPuw/RPlRfgFuL1MXjnzyABjK7K/img.jpg)
류이주가 작성해 준 분재기
가사전민도문기家舍田民都文記
1793년 류이주가 자식인 류덕호 형제 및 조카에게 주는 가사家舍와 전민田民, 즉 토지와 노비를 상속해 준 문기都文記.
이 문서는 그 가운데 큰 아들과 둘째 아들 몫만 따로 기재하여 작성한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1sBCw/btsFm6lEmoc/wNy3o9iDMcCYvo70xku9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0nOe/btsFmg3aZ8m/4cvy0G2D8O1OVkJ7gYgB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tWdh/btsFnVRKJzN/eat3fHBNbZz5NWl4iwaW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LK2x/btsFiuVGgKL/ry2wLwoExYfZwYi2S9nU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RUZG/btsFnWiQwUw/uTSQyupUugkiIJR6kvnL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q6KZt/btsFm3ieTNy/wCPtzKLde7UskIGku1eJ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4QIR/btsFlOmnnR8/pEUICwkDh7ef326HW7y45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HuB2M/btsFoa9d4Z0/YBJZSKqZDsf35jsl1NrB80/img.jpg)
이익회 필 운조루 현판
조선후기 서예에 뛰어났던 고동 이익회(古東 李翊會, 1767~1843)의 글씨이다.
운조루 3대 주인이었던 류억(1796~1852)은 이익회와 교분을 나누던 친구사이였다.
![](https://blog.kakaocdn.net/dn/CHZiO/btsFhUUEG1D/H1gy8nFDLsKnybHKDiiF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5Wy1K/btsFkGOSjqU/kLwYMUw1u4FoY8QEc1jXc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8lsZ/btsFhpgbQql/M3fKOtvOnmlKAyXdHoNDu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1uIJ/btsFkH73dDf/c5yRdo6rlqmrhMKcAvWk6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XxkK/btsFiuBiVKy/oqZi0rKPTBVRDTYqkc1F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F19x/btsFipNx8E5/ZoygRqKqJ7RKgrOiBWyu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Dzve/btsFofWXFM6/JUO2z2a3FKSykk4FqxnK8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o4GA/btsFkVFgnMU/QRnjjbeuYg7kXkriA74n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EQwj/btsFm3vLJWt/9FsFSGF9GkB7pUqPYQDw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2EukW/btsFkKjnYEa/Ui4zv39HftkDR9SL6VdB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b5HV/btsFm1LvKDW/zkSYXOoFy7USN0dWeQK5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7odXt/btsFkKKtmMf/EUx57z3srsE3vRlX6Me5VK/img.jpg)
이산공 류제양 영정, 1923년
손자 류형업이 당시 유명한 화가였던 석지 채용신(石芝 蔡龍臣 1850~1941)에게 부탁하여 그린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aPHnG/btsFkGu3LWW/ME8v4NuLzlw2sW6r1BWZHk/img.jpg)
시언是言
운조루 5대 주인인 류제양이 쓴 친필일기.
운조루 중수기록부터 주요사건과 관련된 구례지방의 사정 등 매우 다양한 내용들이 쓰여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MmpWp/btsFqZ7sgPW/dMvsKljk3g3Dpc0JFpEhY0/img.jpg)
기어紀語
운조루 7대 주인인 류형업이 쓴 친필일기.
할아버지(류제양)의 가르침으로 13세(1898)부터 쓰기 시작하여 52세(1937)까지 썼다.
![](https://blog.kakaocdn.net/dn/bkVKhm/btsFsnfWmiI/BkWllFa0yXdGQs4nQLsl1K/img.jpg)
시패詩牌
300여 개의 네모난 패에 청ㆍ적ㆍ흑색으로 글자가 적혀 있다.
패牌가 담겨 있던 상자에 시패보詩牌譜라고 쓰여져 있어, 시를 짓는 놀이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UMEl8/btsFoHZ1R9S/G7ss38hPbstiRF9J9JvqZk/img.jpg)
오미리 ~ 구례군 노인전문 요양원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 https://bkm2400.tistory.com/m/2482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bkm2400.tistory.com
구례군 노인전문 요양원 ~송정마을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 https://bkm2400.tistory.com/m/2483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 https://bkm2400.tistory.com/m/2482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역방향 : 오미->송정 10.4km 2024.02.25 bkm2400.tistory.com
bkm2400.tistory.com